728x90
반응형
1. Nodemon : NODE 서버를 이용하면서 코드를 변경하게 될 경우,
변경한 코드를 웹 상에서 확인하려면 서버를 껐다가 다시 켜야 변화를 감지할 수 있음
=> 서버를 내리고 올리지 않아도 소스를 변경할 때 바로 감지해서 자동으로 서버를 재시작 해주는 도구
- nodemon 설치 ('npm install nodemon --save-dev')
{
"name": "boiler-plate",
"version": "1.0.0",
"description": "",
"main": "index.js",
"scripts": {
"start": "node index.js",
//노드몬 스크립트 실행을 위한 코드
"backend": "nodemon index.js", //backend는 임의로 지정한 것, 아무 이름이나 상관없음
"test": "echo \"Error: no test specified\" && exit 1"
},
"author": "BMK",
"license": "ISC",
"dependencies": {
"body-parser": "^1.19.2",
"express": "^4.17.3",
"mongoose": "^6.2.3"
},
//dev를 붙이게 되면 development모드의 local에서만 사용하겠다는 의미
"devDependencies": { //--save-dev
"nodemon": "^2.0.15"
}
}
- nodemon 실행 코드 ('npm run backend')
- 새로고침을 하면 변경된 소스가 출력됨
=> 변경 전
=> 변경 후
728x90
반응형
'Web > React Node 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드 기초 강의 (8) - Bcrypt로 비밀번호 암호화 (0) | 2022.02.27 |
---|---|
노드 기초 강의 (7) - 비밀 설정 정보 관리 (0) | 2022.02.27 |
노드 기초 강의 (5) - BodyParser & PostMan & 회원가입 기능 (0) | 2022.02.26 |
노드 기초 강의 (4) - SSH를 이용한 GITHUB 연결 (0) | 2022.02.26 |
노드 기초 강의 (3) - MongoDB Model & Schema (0) | 2022.0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