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스트림 의미
1) 데이터 집합체를 반복적으로 처리
2) 스트림을 이용하면 다수의 스레드 코드를 구현하지 않아도 데이터를 병렬로 처리
3) 스트림은 스트림 데이터와 스트림 연산의 개념을 모두 포함.
2. 컬렉션과 스트림 비교
컬렉션 스트림
1) 처리방식 다운로드 스트리밍
2) 저장공간 필요 불필요
3) 반복방식 외부반복 내부반복
4) 코드구현 명령형 선언형
5) 원본데이터 변경 변경하지 않고 소비
6) 연산병렬화 어려움 쉬움
3. 스트림 특징
1) 자료의 대상과 관계없이 동일한 연산을 수행
배열, 컬렉션을 대상으로 연산을 수행함
2) 한번 생성하고 사용한 스트림은 재사용 할 수 없음.
자료에 대한 스트림을 생성하여 연산을 수행하여 스트림은 소모됨.
다른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스트림을 다시 생성해야 함.
3) 스트림 연산은 기존 자료를 변경하지 않음.
4) 스트림 연산은 중간 연산과 최종 연산으로 구분됨.(스트림 파이브라인)
스트림에 대해 중간 연산은 여러 개의 연산이 적용될수 있지만
최종연산은 마지막에 한번만 적용됨.
5) 최종연산이 호출되어야 중간 연산에 대한 수행이 이루어지고 그 결과가 만들어짐.
'Web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28) - IO입출력 (0) | 2022.01.28 |
---|---|
Java(27) - 예외처리 (0) | 2022.01.28 |
Java(25) - 람다식 (0) | 2022.01.28 |
Java(24) - 내부클래스 (0) | 2022.01.28 |
Java(22) - review3 (0) | 2022.01.28 |
댓글